주택연금, 5억원 아파트라면 얼마 받을 수 있을까? 가입요령과 지급액 알아보기

건강 100세 시대입니다. 누구나 노후 준비를 해야 하는데요 국민연금, 기초연금, 개인연금 등 다양한 연금제도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최근 지속적으로 가입이 증가하고 있는 주택연금도 함께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과 가입조건

우리 사회에서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해온 가구가 얼마나 될까요? 우리나라 대부분의 가구 자산은 부동산 중심인데요, 주택연금은 이를 활용한 연금으로 최근 많은 국민들의 관심을 받고 가입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택연금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다양한 안내와 가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선 주택연금의 가입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 주택의 공시가가 12억원 이하
  • 다주택자의 경우 주택의 공시가합이 9억원 이하
  • 부부중 한명이라도 55세 이상
  •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대상

2023년 법 개정으로 기존 공시가 9억에서 12억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다주택자도 보유한 주택 공시가 합계가 9억 이하라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주택의 공시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조회 가능합니다.

아파트 빌라등은 공동주택 공시가격, 주택은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메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주택연금의 지급

주택 연금액의 결정은 가입자의 나이와 주택의 공시가가 아닌 시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택연금의 지급]

  • 부부 중 한명 사망하더라도 동일 금액 평생 지급
  • 주택연금 종료 시 이자와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속
  • 연금액은 부부 중 연소자 기준으로 책정

나중에 부부 모두 사망 후 주택을 처분해서 정산하면 되고 연금수령액 등이 집값을 초과하여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으며, 반대로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에게 돌아갑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는 예상연금을 조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마련하였습니다. 주택 시세와 나이 등을 입력하면 받을 수 있는 월지급금을 알려줍니다.

[예상 연금 예시]

  • 아파트 시세 6억원
  • 65세 61세 부부
  • 종신, 정액형
  • 월 연금액: 1,030,150원

가입시 확정된 연금액을 지급하며 주택의 가격 등락과 상관없습니다. 따라서 집값이 높을 때 주택연금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빌딩

주택의 시세는 다음 순서로 제공됩니다.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시세를 적용할 것이고요, 일부 주택의 경우 시세가 없으므로 감정평가를 통해서 시세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주택 시세적용 순서]

  1. 한국부동산원의 인터넷 시세
  2. 국민은행의 인터넷 시세
  3. 공시가격(공시가격이 없는 경우 시가표준액)
  4. 공사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업자의 최근 6개월 이내 감정평가액

주택연금액은 부부 중 연소자 기준으로 책정이 되는데요 대략 연령별 지급 받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60세 가입시 1억당 월 20만원
  • 65세 가입시 1억당 월 25만원
  • 70세 가입시 1억당 월 30만원

연령, 주택가격별 월 연금 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천원)

주택연금

집값이 12억이 넘어가면 더이상 연금액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주택가격 5억이하로 주로 70대 초반 분들이 주택연금을 많이 가입한다고 합니다.

고가의 주택이라면 덜 비싼 주택으로 옮겨서 주택연금을 받으시고 나머지 자금은 별도로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택연금 비용과 금리

주택연금 가입에 따른 비용과 적용되는 금리를 살펴보겠습니다. 가입시 초기보증료를 내고나면 나머지는 가입자가 직접 낼 필요는 없습니다.

금리는 연금을 해지하거나 상속시 잔존가치 계산에 필요하므로 참고해 두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비용과 이자]

  • 가입비: 초기보증료로 주택금액의 1.5%를 최초연급지급일에 납부합니다.
  • 연 보증료 : 보증잔액의 연 0.75%를 매월 납부합니다.
  • 적용금리: 3개월 CD 금리+1.1% 또는 신규취급액 COFIX+0.85%

만일 CD 금리가 약 4% 정도라면 주택대출 금리는 약 5%정도입니다. 시중은행 주택담보 대출 보다는 다소 낮은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월 30만원씩 30년 동안 연금을 받으면 수령한 연금 총액은 1억 8백만원 이지만 중도 해지, 매도, 상속 등으로 갚아야 할 상황이 되면 원금과 이자를 합쳐 상환 할 금액은 2배인 2억이 넘게 됩니다.

주택연금

주택연금 가입 팁

주택연금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팁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주택연금 가입팁]

  • 주택가격이 비쌀때 가입
  • 대출이 있다면 상환 후 가입
  • 중도해지 하지 않기
  • 현금화가 어려운 집이라면 적극 활용

궁금한 사항 문의와 상담은 한국주택금융공사 1688-8114 상담전화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에 관련된 법령은 생활법령정보 사이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2023 머니라이프 • dalswlf@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