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의 소득 환산액”은 대한민국에서 복지 혜택이나 금융 지원 프로그램(예: 청년도약계좌, 기초생활보장 등)의 자격 심사 시 가구 소득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단순히 월급이나 사업소득 같은 현금 소득뿐만 아니라, 보유한 재산(부동산, 예금, 주식 등)을 소득으로 환산해 포함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구의 실제 경제적 능력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재산의 소득 환산액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주의할 점까지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재산의 소득 환산액이란?
재산의 소득 환산액은 보유 재산의 가치를 일정한 비율로 소득화한 금액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집이나 땅, 예금을 가지고 있다면 그 가치를 매달 소득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계산해 총 소득에 더하는 방식이에요.
이는 “현금 소득은 적지만 재산이 많은 가구”가 복지 혜택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자격 심사의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입니다.
특히 청년도약계좌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라는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여기서 가구 소득은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 환산액으로 계산됩니다.
재산의 소득 환산액 계산 방법
재산의 소득 환산액은 재산 종류(부동산, 금융재산, 자동차 등)에 따라 다르게 계산되며, 아래 단계를 거칩니다.
1. 재산 가액 산정
- 부동산: 주택, 토지, 건물 등의 공시지가나 시가표준액 기준.
- 금융재산: 예금, 적금, 주식, 채권 등의 잔액(조사 시점 기준).
- 일반재산: 자동차, 회원권, 귀금속 등.
- 부채: 대출, 신용카드 미결제액 등 공제 가능.
2. 기본재산액 공제
각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라 일정 금액의 “기본재산액”을 빼줍니다. 이는 생활에 필수적인 최소한의 재산은 소득으로 간주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2025년 기준 기본재산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기본재산액 (원) |
---|---|
대도시 (특별·광역시) | 13,800만 원 |
중소도시 (시 지역) | 8,700만 원 |
농어촌 (읍·면 지역) | 7,400만 원 |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예: 서울에 사는 1인 가구가 2억 원짜리 아파트를 보유했다면, 기본재산액 13,800만 원을 뺀 6,200만 원이 계산 대상이 됩니다.
3. 소득 환산율 적용
재산에서 기본재산액을 뺀 금액에 재산 종류별로 정해진 소득 환산율을 곱합니다. 이는 연간 소득으로 환산된 후 월 단위로 나뉩니다.
재산 종류 | 소득 환산율 (연간) | 월 환산율 |
---|---|---|
부동산 | 4.17% | 약 0.3475% |
금융재산 | 6.26% | 약 0.5217% |
일반재산 | 4.17% | 약 0.3475% |
- 부동산: (재산가액 – 기본재산액 – 부채) × 0.3475% = 월 소득 환산액.
- 금융재산: (재산가액 – 부채) × 0.5217% = 월 소득 환산액.
[계산 예시]
상황: 서울 거주 1인 가구, 아파트 3억 원, 예금 5천만 원, 대출 1억 원 보유.
1. 부동산 환산액
- (3억 원 – 13,800만 원 – 1억 원) = 6,200만 원.
- 6,200만 원 × 0.3475% = 약 21,545원/월.
2. 금융재산 환산액
- 5천만 원 × 0.5217% = 약 26,085원/월.
3. 총 소득 환산액: 21,545원 + 26,085원 = 47,630원/월.
이 가구의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에 이 47,630원을 더한 금액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와의 연관성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중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를 판단할 때, 재산의 소득 환산액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 4,305,623원/월.
- 실제 소득 300만 원 + 재산 소득 환산액 47,630원 = 3,047,630원/월.
- 결과: 4,305,623원 이하이므로 가입 가능.
하지만 재산이 많아 환산액이 커지면 소득 기준을 초과할 수 있으니, 본인 가구의 재산 상황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의점
- 조사 시점: 재산은 심사 시점(예: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최근 재산 변동이 있다면 미리 확인하세요.
- 가구원 포함: 주민등록상 함께 사는 가족(부모, 형제 등)의 재산도 포함되므로, 독립 가구인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 부채 공제 한계: 모든 부채가 공제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출 용도(생활비, 투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확한 계산 필요: 재산 환산액은 복잡하니, 정부24나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상담을 받는 것이 확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