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소식을 들을 때마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경험, 혹시 여러분도 해보셨나요?
2025년 3월, 경북·경남·울산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수많은 이재민이 삶의 터전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손을 내밀면 그들의 일상을 되찾는 데 작은 힘이 될 수 있습니다.
산불 지원금 기부
산불은 단 몇 시간 만에 마을 전체를 집어삼킬 수 있는 무서운 재난입니다.
2025년 3월 기준, 경상도와 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주거지와 농경지 피해는 막심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원금 기부는 단순한 금전적 도움이 아니라, 피해 지역 주민들에게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희망을 주는 첫걸음입니다.
기부금은 생필품 지원, 주거 복구, 생계 유지 등에 사용되며, 특히 초기 복구 단계에서 큰 역할을 합니다.


기부금이 사용되는 곳
기부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하신가요? 아래는 주요 사용처를 정리한 표입니다.
사용처 | 설명 |
---|---|
생필품 지원 | 생수, 식료품, 담요, 위생용품 등 구호 물품 제공 |
주거 복구 | 임시 거주지 마련 및 피해 주택 수리 비용 |
생계 지원 | 농가, 소상공인 등 피해자의 생계 유지 자금 |
재난 현장 복구 | 소방 활동 지원, 폐허 정리 등 |
이처럼 기부금은 피해자의 즉각적인 필요를 채우고, 장기적인 회복을 돕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요 기관과 플랫폼 기부처
1.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 특징: 1961년 설립된 재난 구호 전문 기관으로, 산불 피해 복구에 오랜 경험 보유.
- 기부 방법: 홈페이지(www.hopebridge.or.kr)에서 직접 기부 가능. 2025년 3월 24일부터 경북·경남·울산 산불 피해 긴급 모금을 시작.
- 사용 내역: 생필품, 구호 키트, 이재민 생계 지원 등에 투명하게 사용.
2. 네이버 해피빈
- 특징: 네이버가 운영하는 온라인 기부 플랫폼으로, 전국재해구호협회 등과 협력.
- 기부 현황: 2025년 3월 27일 기준, 약 24만 명이 참여해 50억 원 이상 모금.
- 특별 서비스: 실시간 산불 정보 제공과 함께 기부 참여 유도.
3. 카카오같이가치
- 특징: 카카오의 사회공헌 플랫폼으로, 댓글 참여 시 1건당 100~1000원 기부.
- 기부 현황: 3월 23일부터 120만 명 이상 참여, 50억 원 모금.
- 참여 방법: 직접 금액 기부 또는 응원 댓글 작성으로 손쉽게 동참 가능.


4.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특징: 전국 단위 모금 기관으로, 산불 피해 지역 지원에 적극 참여.
- 기부 방법: 홈페이지(www.chest.or.kr) 또는 계좌 입금.
5. 고향사랑기부제
- 특징: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피해 지역에 직접 기부 가능. 10만 원까지 세액 공제 혜택 제공.
- 참여 방법: 고향사랑기부제 홈페이지(www.ilovegohyang.go.kr)에서 지역 선택 후 기부.
이 외에도 금융기관과 기업들이 성금을 전달하며 복구를 돕고 있습니다.
기부 시 주의할 점과 혜택
기부를 고민할 때 “사기 걱정”과 “세제 혜택”은 빠지지 않는 화두입니다.
기부금 사기, 어떻게 피할까?
- 공식 기관 확인: 반드시 공신력 있는 단체(희망브리지, 사랑의열매 등)나 플랫폼(해피빈, 같이가치)을 이용하세요.
- 투명성 체크: 기부금 사용 내역을 공개하는 곳인지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희망브리지는 홈페이지에서 상세 내역을 제공합니다.
- 개인 계좌 피하기: SNS나 커뮤니티에서 개인 계좌로 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신중히 검토하세요.


세제 혜택, 얼마나 받을 수 있나?
기부금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합니다. 아래는 주요 혜택입니다.
- 법정 기부금: 희망브리지, 사랑의열매 등 지정 단체에 기부 시 소득공제 가능(소득의 15~30% 한도).
- 고향사랑기부제: 연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 공제, 초과분은 소득공제.
- 영수증 발급: 기부 후 반드시 영수증을 받아 연말정산에 활용하세요.
함께 만들어가는 희망
산불 피해는 한 사람의 힘으로는 막기 어렵지만, 우리 모두가 조금씩 힘을 보태면 피해 지역에 새봄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기부는 단순한 돈이 아니라, 이웃을 향한 따뜻한 마음입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도 작은 실천으로 큰 변화를 만들어보세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망설여진다면, 위에 소개된 플랫폼 중 하나를 선택해 첫걸음을 내디뎌 보시는 건 어떨까요?
참고 자료 및 출처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www.hopebridge.or.kr
- 네이버 해피빈: happybean.naver.com
- 카카오같이가치: together.kakao.com
-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www.chest.or.kr
- 고향사랑기부제: www.ilovegohyang.go.kr
- 행정안전부 재난 정보: www.mois.go.kr
- 기부금품 모집 및 사용 관련 법률: www.law.go.kr